책정보 및 내용요약
역사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역사가 시간에 따른 사물의 변화를 인지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역사를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도 바로 시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건들과 연도를 달달 외워 보지만, 그렇다고 시간의 흐름과 맥락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키워드 한국사』는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먼저 역사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역사 개념과 인물, 사건, 생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키워드를 권마다 30개 안팎씩 모두 200개를 뽑아 7권으로 구성했습니다. 각각의 키워드들을 따로따로 분절시키지 않고 긴밀하게 엮어 역사의 큰 줄기를 잡아 주고, 하나의 역사적 사건을 놓고 그것이 왜 일어났는지, 그것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그 사건에 숨어 있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명쾌하면서도 흥미진진하게 짚어 주어 역사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했습니다.
▶ 『키워드 한국사』 시리즈 권별 내용
키워드 한국사 1-선사·고조선·고구려·백제
김성환 지음│이선희·김진화 그림│192쪽
고구려가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 때 최고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단지 두 왕이 위대해서뿐만 아니라 이전의 왕인 소수림왕이 율령 반포와 태학 설립, 불교 공인 등을 통해 나라의 토대를 잘 닦아 놓았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키워드 한국사』는 이렇게 고구려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고대 국사, 소수림왕, 불교, 광개토 대왕, 평양 천도 등의 역사 키워드를 긴밀하게 엮어 자연스럽게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게 했습니다. 1권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 두 번째 나라 부여, 그리고 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고구려와 백제의 역사를 다루었습니다.
키워드 한국사 2-신라·가야·통일 신라·발해
김성환 지음│김옥재·김진화 그림│196쪽
신라는 삼국 가운데 가장 발달이 늦은 나라였습니다. 그런 신라가 꾸준히 성장하여 마지막에는 백제와 고구려를 무너뜨리고 한반도를 통일했습니다. 신라의 삼국 통일은 운이 좋아서 하루아침에 일어난 사건이 아니지요. 진흥왕, 화랑도, 김유신, 삼국 통일 등의 키워드를 통해 신라의 발전 과정과 삼국 통일 과정, 신라의 삼국 통일을 어떻게 봐야 할지를 꼼꼼하게 살폈습니다. 이 밖에도 가야와 통일 신라, 발해 등 각 나라의 흥망성쇠를 마치 사람의 일생을 그리듯 흥미진진하게 들려주고 있어 나라마다 고유한 환경과 역사, 독자적인 문화 특징과 발전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한국사 3-고려
김창현 지음│이선희·김진화 그림│212쪽
500년이라는 긴 역사를 가졌으면서도 우리에게 여전히 낯선 고려의 역사가 사실은 얼마나 다채롭고 역동적이었는지를 새로운 시각으로 담아 냈습니다. 훈요 10조, 팔관회, 본관 제도, 과거 제도, 시무 28조 등의 키워드를 통해 통일 왕조 고려의 정치 이념과 근간을 밝혀 주는 한편, ‘거란군을 물리친 강감찬은 잘 알려져 있는데, 양규는 왜 잊혀진 영웅이 되었을까?’, ‘무인 정권기에는 과연 사회가 부정적으로만 변했을까?’ 등 우리가 고려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나 다시 생각해 볼 문제들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들려주어 역사를 보는 관점을 길러 줍니다.
키워드 한국사 4-조선 전기
신병주 지음│김종도·김진화 그림│216쪽
태조 이성계가 새 나라 조선을 세운 이야기부터 나라의 기틀을 만들어 가는 이야기, 세종 시대에 꽃핀 학문과 과학, 그리고 조선 시대 최대의 위기였던 임진왜란을 극복해 간 이야기까지 숨 가쁘게 펼쳐진 조선 전기의 역사를 담았습니다. ‘조선의 건국 이념인 성리학이란 무엇일까?’,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까닭은 무엇일까?’, ‘태종은 왜 전국 방방곡곡에 지방관을 파견했을까?’, ‘임진왜란 때 이순신 함대가 승리한 요인은 무엇일까?’ 등 조선 전기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는 핵심 키워드와 흥미로운 주제로 조선 전기의 역사적 맥락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한국사 5-조선 후기
신병주 지음│김종도·김진화 그림│224쪽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쟁을 겪은 뒤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맞게 된 조선 후기를 다루었습니다. 전쟁의 상처를 극복하고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워 나간 이야기, 영?정조 시대의 문예 부흥과 개혁 정치, 실학과 서민 문화의 발달, 새로운 종교 천주교와 동학의 탄생, 진주 농민 봉기,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쇄국 정책 등 변화하는 조선 후기의 시대상이 역동적으로 펼쳐집니다. 폭군으로만 인식되어 왔던 광해군과 그가 펼친 중립 외교 정책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조선 후기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붕당 정치의 의미와 전개 과정을 쉽게 들려줍니다.
키워드 한국사 6-근대
김성환 지음│차재옥·김진화 그림│224쪽
현대와 가장 가까운 과거임에도 어렵고 재미없다는 이유로 잘 모르고 넘어가기 쉬운 근대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흥미롭게 다루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를 위한 첫 시도였던 갑신정변이 3일 만에 실패로 끝난 이유는 무엇일까?’, ‘이완용은 처음부터 친일파였을까?’,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이 일본에서 존경받는 까닭은?’, ‘일제가 토지 조사 사업을 벌인 진짜 이유는?’ 등과 같은 흥미로운 주제로 근대사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한국사 7-현대
김성환 지음ㅣ김은미?김숙경 그림ㅣ224쪽
1945년 8.15 해방부터 2000년 6?15 남북 정상 회담까지 그 어느 때보다 변화의 소용돌이가 거셌던 현대사를 다루었습니다. 신탁 통치, 6.25 전쟁, 4?19 혁명, 5?16 군사 쿠데타, 유신 체제, 새마을 운동,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서울 올림픽, IMF 외환 위기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단 문제, 경제 성장의 빛과 그늘, 민주화 이후의 과제 등을 짚어 주면서, 앞으로 풀어 가야 할 우리 시대의 문제와 새로운 미래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합니다.